중앙선거관리위원회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즐겨 찾는 메뉴
나만의 메뉴로 구성하여
빠르고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어요!
나만의 메뉴란
즐겨찾는 메뉴를 10개까지 등록을 하여
보다 빠르고 편하게 확인이 가능한 기능입니다.
나만의 메뉴를 등록을 하면
자신의 컴퓨터에서 편하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 로그인 시 나만의 메뉴를 다른 컴퓨터에서
    편하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비회원 로그인 시 예외)
  • 나만의 메뉴는 특집과 대표 홈페이지로 구분되어 있어
    각 메뉴별로 등록이 가능합니다.
    방문기록은 내가 방문한 페이지 9개까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 HOME
  • 선거정보
  • 카드뉴스

카드뉴스

나만의 메뉴 즐겨찾는 메뉴를 추가하여 나만의 메뉴에서 바로 이동할 수 있어요!
나만의 메뉴 설정하기

방문기록

내가 선택한 나만의 메뉴

선거용품의 역사, 과거와 현재를 잇다
  • 작성자 운영자 등록일 2025-02-27



선거용품의 역사, 과거와 현재를 잇다

 

한 표의 가치를 지키는 투표함의 변화

 

Since 1948

 

목재투표함

 

대한민국 첫 민주선거부터 1960년대까지는 목재 투표함이 사용되었습니다.

 

1963년 제3공화국 출범 이후 철재 투표함이 등장하면서 점차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2012 ~ Today

 

강화플라스틱 투표함

 

2012년 제19대 국회의원선거부터 강화플라스틱 재질로 투표함을 제작하였으며, ·개표과정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해 용지 투입구와 열쇠 부분에 대한 봉인 기능이 강화되었습니다.

 

한 장의 투표용지에 담긴 변화의 기록

 

Since 1948

 

막대기호ㆍ세로쓰기 투표용지

 

대한민국 첫 민주선거부터 1960년대까지는 목재 투표함이 제헌국회의원선거부터 막대기호·세로쓰기 투표용지가 사용되었습니다.

 

후보자명은 한자와 한글을 병기하였으며, 당시 문맹률이 높아 막대기호를 사용해 후보자를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2016 ~ Today

 

후보자란 사이 여백을 준 투표용지

 

20대 국회의원선거에서는 후보자·정당을 구분하는 사이에 여백을 두었으며, 19대 대통령선거에서는 후보 간 간격을 두어 기존 선거에서 후보자나 정당을

 

구분한 선에 기표하여 발생했던 유·무효표 논란 등이 방지되었습니다.

 

기표용구,

 

시대에 따라 변하다

 

Since 1952

 

대나무ㆍ탄피 기표용구

 

민주선거 초기에는 "O"를 사용해야 한다는 규정만 있어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대나무가 기표용구로 사용되었습니다.

 

이후 6·25전쟁으로 탄피를 쉽게 구할 수 있게 되면서 탄피 또한 기표용구로 사용했습니다.

 

2005 ~ Today

 

만년도장식 기표용구 사용

 

2006년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이후 6장 이상의 투표용지에 기표를 더 편하게 할 수 있도록 인주가 내장된 일체형 기표용구가 도입되었습니다.

 


공공누리 마크 홍보과(02-3294-1034)에서 제작한 선거용품의 역사, 과거와 현재를 잇다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저작권정책]을 확인하십시오.
콘텐츠 만족도
평가하기
소통하기

자주찾는 메뉴